산악 자전거 서스펜션 기초 이론
산악 자전거 서스펜션 기초 이론: 새그(SAG)와 리바운드
풀 서스펜션 산악 자전거를 가지고 있나요? 하드테일 산악 자전거 대신 풀 서스펜션 자전거를 탄다면 더 적은 노력으로 기술적인 지형을 라이딩할 수 있고, 거칠거나 단단하지 않은 지형에서 더 큰 접지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서스펜션이 제대로 세팅되어 있다면 말이에요.
적절하지 않은 서스펜션 세팅은 산악 자전거를 탔을 때 좋지 않은 라이딩 퍼포먼스를 경험하게 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서스펜션 용어
트래블(Travel): 서스펜션이 눌려 들어가는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말로는 서스펜션의 스트로크 거리라고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Liv 해일(Hail)은 160mm 트래블을 가지고 있으며, 피크(Pique)는 120mm 트래블을 가지고 있습니다.
포크(Fork): 산악 자전거의 프론트 서스펜션입니다.
샥(Shock): 산악 자전거의 리어 서스펜션입니다.
스텐션(Stanchion): 포크와 샥에서 반짝거리는 부분으로 포크의 아래 부분과 샥의 바디 속으로 들어갑니다.
새그(Sag): 라이더가 자연스럽게 자전거 위에 앉아 있을 때의 트래블 거리입니다. 새그 테스트는 포크와 샥에 충분한 공기가 들어있는 지 측정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보통 전체 트래블의 25~35% 정도 들어가도록 조정합니다.
샥 펌프(Shock Pump): 샥과 포크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입니다. 일반적인 자전거 타이어 펌프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컴프레션 댐핑(Compression Damping): 일부 포크와 샥은 서스펜션 내부의 작은 구멍을 통해 오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다이얼을 가지고 있습니다. 컴프레션 댐핑을 더 사용하면 샥과 포크가 더 단단한 느낌이 들 것입니다.
리바운드 댐핑(Rebound Damping): 리바운드 조절 다이얼은 포크나 샥이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속도를 조절합니다. 리바운드 댐핑을 더 사용할수록 포크와 샥이 돌아오는 속도가 늦어집니다.
산악 자전거의 새그를 세팅하는 방법
- 도와줄 사람 한 명이 필요합니다! 새그 측정 시 프론트 휠을 잡아주는 사람이 있으면 조금 더 수월 합니다.
- 컴프레션 댐핑 다이얼이 있다면 모두 열린 포지션에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페달 위에 올라서서 자전거 위에서 몇차례 뜁니다. 서스펜션을 통해 오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고, 포크와 샥이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전거 위에서 뛸 때는 실제로 라이딩하는 것처럼 자전거의 앞으로 조금 더 무게를 실어줍니다.
- 자전거 위에 자연스러운 자세로 서있습니다. 그리고 도움을 주는 사람이 스텐션 위의 고무 O링을 움직여 현재 위치를 표시합니다.
- 조심스럽게 안장에 앉은 후 자전거에서 내려옵니다.
- 스텐션을 살펴봅니다. 자를 이용해도 되지만, 일반적으로는 보는 것만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O링이 스텐션의 아래에서 1/4 지점 부근에 있다면 서스펜션이 적절하게 세팅 된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O링이 스텐션의 1/4 지점보다 아래에 있다면 샥이나 포크에 공기가 너무 많은 것입니다. 이때는 샥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제거합니다. 만약 O링이 스텐션의 아래에서 1/4 지점보다 위로 올라가 있다면 샥이나 포크에 공기가 너무 없는 것입니다. 샥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해주세요.
리바운드 댐핑 조절하는 방법
리바운드는 새그가 적절한지 확인 한 후에 조정해야 합니다. 리바운드의 조정 범위는 라이더의 선택사항입니다. 하지만 리바운드가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리면 라이딩 할 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도 있습니다. 리바운드 댐핑을 조절할 때는 일반적으로 얼마나 많은 리바운드 “클릭 수”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리바운드 다이얼을 가장 왼쪽(RockShox의 경우 재카로프(토끼) 모양 쪽, Fox의 경우 마이너스(-) 표시 쪽)으로 돌려서 댐핑을 모두 없에 줍니다. 그리고 다이얼을 오른쪽(RockShox의 경우 거북이 모양 쪽, Fox는 플러스(+) 표시 쪽)으로 돌리면서 클릭 수를 셉니다. 다이얼의 클릭 수를 알아낸 후에는 반 정도 지점에 오도록반대로 돌려줍니다.
이제 샥 리바운드를 확인하기 위해 안장을 아래로 눌렀다가 올리거나 포크를 확인하기 위해 핸들 바를 아래로 눌렀다가 올리면, 리바운드의 양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때 손으로 핸들바나 안장을 잡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하고, 정확한 느낌을 느끼기 위해서는 손을 편 상태로 아래로 눌렀다가 손에 힘을 빼줍니다. 서스펜션은 원래 위치로 빠르게 다시 올라올 것입니다. 빠르게 올라오지 않는다면 타이어를 땅에 한 번 튕겨 주세요. 그리고 필요한 만큼 클릭을 더하거나 빼줍니다. 더 느린 리바운드를 위해서는 댐핑을 더 해주고(거북이/플러스 표시), 더 빠른 리바운드를 위해서는 댐핑을 제거해 줍니다(재카로프(토끼)/마이너스 표시)
리바운드를 조절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라이딩을 하는 도중에 주의 깊게 살피는 것입니다. 땅에서 점프하거나 땅으로 떨어질 때 자전거에서 튕겨져 나가는 느낌이 들거나 테크니컬 지형에서 라이딩 할 때 거친 느낌이 든다면, 리바운드 댐핑을 더 해 리바운드 속도를 느리게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서스펜션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느낌이 들거나, 빠른 속도로 다수의 장애물 위를 지나간 후에 서스펜션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지 않는다면, 리바운드 댐핑을 제거하여 리바운드의 속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컴프레션 댐핑은 언제 사용하나요?
모든 포크와 샥의 종류마다 다릅니다. 어떤 것은 빠르거나 낮은 속도의 컴프레션 댐핑을 제공하고, 어떤 것에는 두 가지의 세팅이 있으며, 어떤 것은 세 가지가 있는 경우도 있고, 아예 없는 것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보유 자전거의 서스펜션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제조사의 설명서를 확인한 다음, 웹사이트의 권장 사항이나 자전거와 함께 온 메뉴얼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컴프레션 댐핑 사용에 대한 짧은 팁: 만약 포크나 샥에 “락 아웃” 컴프레션 댐핑 포지션이 있다면, 이 세팅은 도로나 자갈 도로, 부드러운 싱글 트랙 위를 달릴 때 사용하세요. 새그가 정확하다면 테크니컬 싱글 트랙을 올라갈 때 서스펜션을 활성화 해야 합니다. 돌이나 나무 뿌리 위를 달리며 내려 올 때 서스펜션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세팅하는 것처럼, 같은 지형을 올라갈 때 서스펜션이 활성화되면 타이어가 땅에 더 붙어있게 되어 타이어의 접지력을 높여 줍니다!
서스펜션은 어느 정도 기술이 필요한 부분이고, 여기서 배운 것은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기본적으로 포크와 샥의 다이얼을 계속 돌려보면서 그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세요. 각 세팅이 어떤 영향을 주는 지 확인하고, 어떤 세팅에서 가장 편한 느낌이 드는지 찾아보세요!